생태계
편집자주
사람에게 따뜻함을 주는 반려동물부터 지구의 생물공동체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구체적 지식과 정보를 소개한다.
최근에 삼계탕을 영국으로 수출한다는 뉴스가 있었다. 이렇게 식품을 수출할 때 우리는 수입국과의 통상 조약을 준수한다. 우리나라가 유럽 그리고 영국과 맺은 자유무역조약에는 동물복지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었다. 동물복지 분야에서 정보, 전문지식 및 경험을 교환하고 동물의 인도적인 도축에 관한 기준의 개발에 협력한다는 것이다. 식품을 수출입하는데 왜 동물복지에 대한 조항이 필요할까?
우리가 먹고 이용하는 동물에 대한 사회의 인도적인 처우는 사회의 윤리적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동시에 이는 사회경제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동물복지는 동물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보장하고 동물의 본성을 드러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동물복지가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농장에서는 동물이 스트레스에 노출될 확률이 낮고, 동물의 건강을 유지하기 쉽고, 결과적으로 식품 안전성도 높아진다. 또한, 이런 환경에서 일하는 축산 노동자의 직업만족도가 높아지고 업무 스트레스도 줄어드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최근 동물복지 축산물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동물복지연구소 어웨어의 설문에 따르면 90% 이상의 시민이 공장식 밀집사육 등 농장동물 복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89.6%가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 인증 축산물의 가격은 달걀의 경우 일반 달걀보다 1.5배 정도 더 높다. 그러나 동물복지 인증 축산물은 더 건강하고 안전하다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호가 증가하고 있다. 제레미 콜러 같은 세계적인 투자자나 카너 블루 캐피털 등 다수의 투자회사가 동물복지와 관련된 투자를 시작하고 있다. 비영리단체인 농장동물복지 비즈니스 벤치마크에 따르면 150대 글로벌 식품기업들 중 87%가 농장동물복지에 대한 회사 차원에서의 정책을 가지고 있다. 이는 동물복지를 고려한 축산업과 식품산업이 가진 가치를 국제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동물복지 축산은 미흡한 수준이다. 산란계 농장의 25.5%, 돼지농장의 0.3%만이 관련 인증을 받았다. 동물복지 농장의 인증 기준은 동물이 아니라 시설을 기반으로 설정되어 있어 초기 비용이 높은 탓에 축산농민들의 저항이 존재한다. 경제성과 가치를 모두 실현할 농장동물의 복지를 연구하는 전문가의 수는 턱없이 부족하다. 미래의 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동물복지 축산에 대한 산업계와 정부의 협력이 시급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