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아름다운 힘겨루기, 씨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열심히 일한 나에게 한 자락의 휴식을… 당신을 즐겁게 하는 다양한 방법, 음식ㆍ커피ㆍ음악ㆍ스포츠 전문가가 발 빠르게 배달한다.
'동물의 왕국'이라는 TV 프로그램을 보면 동종(同種) 간에 싸우는 장면이 많다. 싸움의 주체는 주로 수컷이고, 싸움의 원인은 먹이 혹은 암컷을 차지하기 위함이다. 수컷들의 힘자랑은 본능이다. 모든 생물은 자신의 유전자를 세상에 남기려 한다. 가능한 한 좋은 후세를 만들기 위해서는 영양 상태가 좋아야 한다. 그리고 좋은 짝짓기 상대를 만나야 한다. 무리 내에서 힘센 수컷으로 자리해야 그 가능성이 커진다.
인간도 다르지 않다. 남성의 힘겨루기는 그 우위를 가리는 수단이다. 힘겨루기를 통해 남성성을 크게 드러낼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인간이 사는 곳에서는 지역의 특색에 맞는 힘겨루기가 있다.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힘겨루기는 씨름이다.
사료(史料)로 확인할 수 있는 최초의 씨름은 '각저총(角觝塚)'이라 부르는 고구려 고분벽화이다. 각저는 씨름의 한자어이고 벽화 제작 추정 연대는 4세기 말이다. 그러므로 씨름은 최소 1,600년 전부터 우리 민족이 즐긴 운동이다.
조선시대의 화폭을 통해서도 씨름 풍속을 엿볼 수 있다. 보물 527호인 단원 김홍도의 '씨름도'는 선명한 씨름판 상황을 생중계하는 듯하다. 조선 시대의 씨름은 중앙과 지방에서 쓰임새가 달랐다. 중앙의 씨름 목적은 군인들의 무예와 호신술이었다. 지방에서는 농촌공동체를 위한 행사였다. 씨름은 단오, 백중, 추석 등에 행하는 전통 세시풍속이었다. 지역마다 기후대가 달랐기에 농사 절기에 따라 씨름을 즐긴 시기도 달랐다. 한수 이북 지역은 단오(端午), 기호지방은 백중(百中), 영호남은 추석(秋夕)에 즐겼다.
씨름 외에 전통 무예로는 수박(手搏)과 태권도(跆拳道)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은 종목 이름 자체가 한자다. 씨름은 종목 이름뿐 아니라 관련한 모든 용어가 우리말이다. 우선 씨름의 유일한 도구인 '샅바'가 있다. 샅바는 허리와 다리를 둘러 묶어서 손잡이로 쓰는 천이다. 두 다리가 갈라진 사이의 허벅지 어름을 이르는 ‘샅’에서 나온 말이다. 씨름 기술도 모두 우리말이다. 앞무릎치기 등 손기술 10개, 덮걸이 등 다리기술 7개, 호미걸이 등 발기술 8개, 왼배지기 등 허리기술 7개, 들어잡채기 등 들기술 9개, 뿌려치기 등 혼합기술 14개가 모두 그렇다.
씨름은 우리 민족의 세시풍속으로서 전통의 가치가 크다. 게다가 관련한 모든 용어가 순우리말이다. 그래서 언어 측면의 계승 가치도 크다. 이래저래 씨름은 현세의 가슴에서 후세의 가슴으로 전달해야 할 전통문화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