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창업·투자·성장 선순환 생태계 구축 선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의 미래 지방에 답이 있다
"대전은 국내 최고 연구개발 인재와 역량을 보유한 잠재력이 있으나 수도권에 비해 지역 내 투자자본이 부족한 어려움을 안고 있다."
한국일보와 대전시, 대전투자금융㈜이 '지역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투자중심 기술금융 리더'를 주제로 10일 대전 호텔ICC 크리스탈볼룸에서 개최한 '미지답(우리의 미래 지방에 답이 있다) 대전 포럼'에서 김영태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는 이렇게 진단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김 교수는 "대전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과학기술 인재의 과감한 창업 기반, 기업이 몸집을 키울 수 있는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앙·지방정부, 은행권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대전이 가진 우수 자원인 KAIST 및 대덕특구재단과 협업, 외부 투자를 촉진할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과학기술 연구 성과에 대한 엔젤투자(개인들이 돈을 모아 창업기업에 자금을 댄 뒤 주식으로 대가를 받는 투자 형태) 시스템, 지방자치단체나 출연·공공기관이 최대 49%까지 출자 가능한 특례를 활용한 '대전시민 개인투자펀드' 조성 등 투자자본 확대를 위한 세부 전략을 제시했다.
김 교수는 "대전을 비롯한 비수도권 투자 확대를 위해 1조 원 규모 펀드를 추진 중인 중소벤처기업부와 전략적 협력,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와 같은 지역기반 모태 펀드 조성, 과학기술특구 내 창업기업 투자 시 세제 혜택을 주는 방안 등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발표에 나선 송원강 대전투자금융 사장은 지방정부 최초의 공공투자기관 역할과 운용 전략을 소개했다. 대전투자금융은 대전시가 자본금 500억 원을 출자해 지난 7월 31일 출범했다.
송 사장은 "올해 3분기까지 국내 벤처투자액은 8조5,8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3% 늘긴 했으나 수도권 집중에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딥테크 기업(deep-tech·고차원의 공학, 과학기술에 기반한 혁신 아이템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투자는 여전히 부진하다"며 "공공 벤처캐피털(VC)이 중심이 된 새로운 생태계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딥테크 기업과 나노반도체, 바이오헬스, 우주항공, 국방, 양자, 로봇·드론 등 대전시 전략산업 관련 기업이 주요 투자대상"이라며 "설립 7년을 기준으로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과 스케일업(성장 벤처기업)을 구분해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에 나서겠다"고 운용 계획을 제시했다. 또 "은행권, 기술보증기관과 토털 금융서비스를 구축하겠다"는 약속도 거듭 밝혔다.
송 사장은 "창업과 투자, 성장의 선순환 구조가 자리 잡으면 지역 내 일자리 창출을 넘어 국가경제의 버팀목이 될 것"이라며 "민간자본 유입을 촉진해 벤처 자본시장이 성장하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