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尹정부 3년 차 '집단 갈등' 역대 최고… '해소 노력' 3년 내리 낙제점 [2024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 3년 차인 지난해 한국 사회의 '집단 갈등'이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국민 비율이 92%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집단 갈등의 심각성을 수치로 평가한 조사(전혀 심각하지 않다 0점~매우 심각 10점)에서도 평균 점수가 8.1점으로 2013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뒤 최고치였다. '조국 일가 수사' 여파로 국론이 분열됐던 2019년(7.7점)보다 더 높다. 윤 대통령의 '12·3 불법 계엄' 선포에 따른 탄핵소추와 구속 등의 사태가 계속되며 국민들이 우리 사회의 집단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고 느낀다는 분석이다.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와 한국리서치가 지난해 12월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8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상대로 설문해 22일 발표한 '2024년 한국인의 공공갈등 의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92.6%는 '우리 사회 집단 간 갈등이 심각하다' 내지 '매우 심각하다'고 답했다. '보통이다' '심각하지 않다'는 응답은 각각 6.2%, 1.2%에 그쳤다. 집단 갈등이 심각하다는 인식은 2013년(92.8%) 첫 조사 이래 2021년(88.7%)과 2020·2023년(각 89.8%)을 제외하면 해마다 90% 초반에 머물고 있다. 박근혜·문재인 정부를 거쳐 윤석열 정부 3년 차까지 집단 갈등 완화에 실패한 우리 사회의 현주소다.
현 정부에서 갈등이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 비율의 증가 폭도 커지고 있다. 윤 대통령 집권 3년 차인 지난해 '집단 갈등이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은 21.7%로, 집권 2년 차인 2023년(15.0%)보다 6.7%포인트 상승했다. 취임 첫해인 2022년(10.7%) 대비 이듬해 상승 폭(4.3%포인트)보다 더 높아졌다.
갈등의 심각성을 수치화한 평균 점수는 10점에 가까울수록 국민이 체감하는 갈등이 심각하다는 의미인데 8.1점으로 집계돼 처음으로 8점대를 넘어섰다.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1년간 평균 점수는 최저 7.5점, 최대 7.7점이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임기 4년 차에 권력 누수가 오던 2016년에도,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착수한 '조국 일가 수사'로 국론이 두 동강 났던 2019년에도 평균 점수는 각 7.7점이었다. 이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얘기다.
윤석열 정부에서 집단 갈등이 '늘었다'는 응답자 비율도 77.9%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직전 연도(63.5%)보다 14.4%포인트 치솟았으며 증가 폭 역시 가장 컸다. 반면 '갈등이 줄었다'는 응답률은 4.1%로, 전년(8.9%)의 절반 이하였다. 이전 정부 3년 차와 비교해도 갈등이 증가했다는 응답률은 박근혜 정부(66.7%·2015년), 문재인 정부(52.6%·2019년)를 크게 웃돈다. 박근혜 정부 4년 차이던 2016년(65.6%)보다도 12.3%포인트 높다.
갈등이 늘었다고 보는 국민(779명)의 65.7%는 '윤석열 정부가 야당이나 반대 세력과 소통과 협치를 하지 않는다'는 걸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윤 대통령이 임기 전반부에 감사원과 검찰 등 권력기관을 동원해 전 정부 인사를 겨눈 대대적 사정에 돌입한 뒤 줄곧 야당 등 반대 진영과 협력할 의지를 보이지 않은 게 문제라는 의미다. 윤 대통령이 12·3 불법 계엄 선포 당시 국회를 "범죄자 집단의 소굴" "패악질을 일삼는 반국가 세력"이라며 '척결'을 다짐한 건 갈등의 극단을 드러낸 대표적 장면으로 국민 머릿속에 선명하게 새겨졌다. 여기에 '국정운영 기조나 정책 특성 때문'(9.6%)이란 응답까지 합치면 국민 4명 중 3명(75.3%)은 갈등 증가의 원인을 윤석열 정부의 잘못으로 보고 있는 셈이다.
반면 윤 대통령이 계엄 선포 배경으로 줄기차게 내세우고 있는 '정부의 국정운영에 야당이나 반대 세력이 비협력적이기 때문'이란 응답은 17.1%에 그쳤다. 검찰에서 하던 윤 대통령의 '마이웨이' 방식을 행정수반이 되고서도 고집하는 자체가 잘못이라는 국민 평가가 3배 이상 많은 셈이다. 이강원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소장은 "야당의 발목 잡기로 (경고성으로) 계엄을 선포할 수밖에 없었다는 대통령 인식과 국민들 인식에 매우 큰 괴리가 생기면서 사회적 갈등이 최고조라고 체감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윤 대통령이 오판한 계엄의 후과로 탄핵심판까지 받게 됐음에도 계엄 선포를 정당화하는 걸 지켜본 국민들은 현 정부의 '갈등 해소 노력' 항목에도 낙제점을 매겼다. 윤석열 정부가 갈등을 줄이려 '노력한다'는 응답 비율은 17.1%로, 3년 연속 내리막이었다. 윤 대통령 취임 첫해인 2022년 26.9%로, 박근혜 정부 4년 차의 2016년(29.0%) 최저점 기록을 갈아 치웠고, 2023년에도 25.4%로 또 최저점을 경신했는데 이보다 더 떨어진 것이다. 이전 정부 3년 차와 비교해보면, '노력한다'는 응답 비율은 박근혜 정부(36.2%), 문재인 정부(51.7%) 때보다 현저히 낮다. '현 정부가 갈등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82.9%에 달했다.
갈등에 책임이 있는 국회 등 11개 집단 중 대통령 개인이 갈등 해소 노력을 했는지에 관한 국민 평가도 박했다. 윤 대통령이 '노력한다'는 응답은 2023년(21.2%)에서 5.8%포인트 떨어져 15.4%에 그쳤다. 반면, 언론과 함께 직전 연도까지 늘상 바닥권이던 국회의 갈등 해소 노력 인정 비율은 2023년 9.6%에서 15.2%로 5.6%포인트 올라 윤 대통령과 대비됐다. 이강원 소장은 "국회가 신속히 계엄 해제 결의를 하고 계엄의 공포에 질려있던 국민들에게 안도감을 준 것이 영향을 준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와 한국리서치는 공공갈등에 대한 국민 인식을 파악하려고 2013년부터 해마다 1,000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2월 30일부터 이달 6일까지 8일간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지난해 11월 주민등록 인구현황에 따라 성별·연령별·지역별로 비례할당한 뒤 한국리서치 응답자 풀에서 무작위로 추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