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한강의 노벨문학상이 남긴 과제… "흥분하고 자만해선 안 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슬로건을 걷고 ‘세계문학으로서 한국문학’으로 나아간 사건이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소설가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이같이 평가했다. 한국인 최초, 아시아 여성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받은 한강이 전 세계에 한국문학의 위상을 드높였다는 평가에 이의를 제기할 이는 아무도 없다. 그의 수상으로 전 세계인들이 한국문학에 주목하게 됐다. 2000년 김대중 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이어 한국 사회의 오랜 노벨문학상 숙원도 해소해 국민들에게 기쁨과 희망을 선사했다.
빛이 강할수록 그림자는 어둡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한국 사회에 남긴 숙제도 적지 않다. 한강의 수상으로 한국 사회의 이념 갈등은 더 커졌고, 페미니즘에 대한 왜곡된 시선이 드러났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를 탄생시켰지만 여전히 한국문학이 가야 할 길은 멀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알려진 지 나흘 후인 지난 10월 14일, 서울 중구 주한 스웨덴 대사관 건물 앞에는 '대한민국 역사 왜곡 작가 노벨상, 대한민국 적화 부역 스웨덴 한림원 규탄한다'고 적힌 현수막이 등장했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제주 4·3사건 등을 다룬 한강을 비판하는 보수단체가 시위를 했다. 소설 '채식주의자' 등 한강의 작품은 학교와 군부대 등에서 유해도서로 낙인찍히는 수모도 당했다.
노벨문학상 수상으로 촉발된 이념 갈등 논란에 유 교수는 "한국문학의 최대 경사를 진영 논리로 정치화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유영주 미국 미시간대 아시아언어문화학과 교수는 "한강의 작품은 한민족 수난의 현대사라는 시공간적 배경을 넘어서서 인류 보편성의 새로운 지평에서 읽혀야 한다"(문예지 '창작과비평' 206호)고 진단했다.
페미니즘에 대한 날 선 공격도 이어졌다.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페미니즘 소설 같은데 읽어도 되나”라는 글이 올라왔다. 육식을 거부하는 여성을 통해 가부장제의 억압·폭력을 그린 ‘채식주의자’ 등 그의 소설에 담긴 페미니즘적 시선을 향한 거부감이었다.
권명아 동아대 한국어문학과 교수는 "페미니즘은 세계적 화두다"라며 "한국에서는 노벨문학상 정도는 받아야 성차별적 해석의 패러다임을 문제시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라는 점이 안타깝다"고 꼬집었다. 2022년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프랑스 작가 아니 에르노와 2019년 영국 부커상 수상자 마거릿 애트우드 등도 작품에서 페미니즘을 주요하게 다뤘다.
제2의 한강을 배출하려면 한국문학의 번역부터 챙겨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 10월 박경리문학상을 수상한 프랑스 소설가 실비 제르맹은 "한국 소설을 읽어보려고 했지만, 프랑스에 번역된 것들이 별로 없었고 그나마 있는 책의 번역도 조악했다"며 "한국문학을 해외에 알리려면 앞으로 정말 많은 일을 해야 할 것 같다"고 짚었다.
권영민 서울대 명예교수는 "우리는 해방 이후 지금까지 외국인들에게 제대로 한국문학을 가르친 경우가 많지 않고, 외국인 번역 전문가 양성에 공을 들인 적도 없다"며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두고 흥분하고 자만하면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시 전문 계간 유심 겨울호)고 일갈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