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대한민국 최고 과학자까지 중국에 빼앗겨서야

입력
2024.06.24 02:36
27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월 대전 유성구 ICC호텔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 참석해 발언 중 박수를 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월 대전 유성구 ICC호텔에서 열린 미래 과학자와의 대화에 참석해 발언 중 박수를 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지난해 주요 학술지 145종에 실린 논문 7만5,707편을 분석한 결과, 중국이 논문 수와 영향력 등 종합순위에서 미국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는 ‘네이처인덱스’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은 작년과 같은 8위였다. 대학 연구기관 순위에서도 중국은 10위 안에 중국과학원(1위) 등 7곳이 포진한 데 비해 우리나라는 서울대가 59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중국의 과학 굴기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와 인재 확보를 위한 국가적 노력의 결과다. 중국의 R&D 투자는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거듭, 지난해 600조 원도 넘었다. 특히 2009년부터 연간 1,000명의 해외 우수 인재를 중국으로 불러들인다는 ‘천인계획’을 추진한 효과가 컸다. 지금도 중국은 해외 이공계 교수와 과학자에겐 수억 원의 기본 보수는 물론 주택 구입 보조금과 생활 정착금, 계약 보너스 등을 파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중국이 이처럼 과학자 영입에 열을 올리고 있는 반면 우린 ‘국가 석학’마저 중국에 빼앗길 판이다. 국내 이론물리학을 대표하는 전문가로 2014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까지 받은 이기명(65) 고등과학원 부원장은 오는 8월 중국 베이징수리과학응용연구소(BIMSA)로 옮길 예정이다. 정년 이후에도 국내에서 연구하고 싶었지만 예산 등의 제한으로 일할 곳을 찾지 못한 까닭이다. 중국은 다양한 지원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과학의 위기는 찬밥이 된 이공계 현실에서도 확인된다. 과거엔 이공계 학과로 가는 수재들이 많았지만 이젠 모두 의대만 지원, ‘의한민국’이란 말까지 나온다. 의사가 되면 평생 고소득이 보장되지만 이공계는 박사 학위를 받아도 초봉 5,000만 원이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R&D 예산까지 대폭 삭감했다 다시 허겁지겁 늘리는 정책 혼란마저 노정했다. 적어도 나라를 위해 일하길 원하는 과학자에겐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게 제대로 된 사회다. 과학입국으로 세계 10대 경제 강국이 된 대한민국에서 더 이상 과학 인재와 미래 과학자들에게 부끄러운 일은 없어야 한다.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