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2분기) 기준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2.17%로 직전 분기보다 0.16%포인트 상승했다.
업권별로 보면 증권사가 17.2%로 가장 심각해 전 분기 대비 1.4%포인트 올랐다. 증권사 대출 잔액은 2분기 5조5,000억 원에 달한다. 저축은행은 4.6%로 0.5%포인트 증가했다. 그런데 저축은행 상위 5개사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배 이상 급증했다. 신협,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은 1.1%로 1%포인트 늘었다. 2021년 말 연체율이 0.09%였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 속도가 빠르다. 특히 지난 7월 뱅크런 소동이 벌어졌던 새마을금고의 경우 1분기 말 기업 대출 연체율이 무려 8.3%로 2.7%포인트 급증했는데 부동산PF 부실이 주원인이다. 프로젝트파이낸싱은 대개 담보 설정 없이 사업 수익성 전망을 근거로 투자하는 것이어서 부실이 발생할 경우 금융사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12일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관련 기관들과 함께 ‘부동산PF 사업정상화 점검회의’를 개최했는데, 참석자들은 “PF대출 연체율이 금융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을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이는 국내 부동산 시장이 더 이상 악화하지 않을 것이란 점을 전제한 것이다.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은 상업용 부동산에 묶인 대출 부실에 대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국내 부동산 역시 전 세계 부동산 시장과 무관하지 않은 만큼 언제 어디서 불똥이 튈지 모르는 상황이다. 금융당국은 1조 원 규모의 한국자산관리공사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를 조성해 부동산 PF시장 정상화와 주택공급에 차질을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무분별한 만기연장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뿐이다. PF사업 전망성 검증과 사업자 자산매각 등 자구노력을 고려해 지원사업을 가려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