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중국이 조종" vs "불가항력"... 미·중 '풍선 진실게임' 누구 말이 맞나

입력
2023.02.05 17:51
3면
구독

中 "민간 비행선... 미국의 격추는 과잉 대응"
"일반적 기상관측 풍선으로 보기 어렵다" 반론

중국의 이른바 '정찰 풍선'이 4일 미국 전투기에 의해 격추당한 뒤 미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서프사이드 비치 바다로 떨어지고 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성명을 내고 "오늘 오후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 북부사령부 소속 전투기가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영공에서 중국이 보낸 고고도 정찰 풍선을 성공적으로 격추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의 이른바 '정찰 풍선'이 4일 미국 전투기에 의해 격추당한 뒤 미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서프사이드 비치 바다로 떨어지고 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은 성명을 내고 "오늘 오후 조 바이든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미 북부사령부 소속 전투기가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안 영공에서 중국이 보낸 고고도 정찰 풍선을 성공적으로 격추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이 자국 상공을 떠다닌 중국의 이른바 고고도 정찰 풍선(High-altitude surveillance balloon·이하 '정찰 풍선')을 격추하자 중국은 "과도한 대응"이라며 발끈하고 나섰다. 기상 관측 목적의 비행선이 의도치 않게 미국 상공에 진입했을 뿐이라는 게 중국 측 해명이지만, 여러 정황상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건 석연치 않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국 외교부는 5일 성명을 내고 미국이 정찰 풍선을 공격하기 위해 무력을 사용한 데 대해 "강한 불만과 항의를 제기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미 미국 측에 해당 풍선이 민간 비행선이며 불가항력 상황으로 예정된 항로를 크게 벗어났다는 점을 수차례 설명했다면서 "미국이 무력 사용을 고집한 것은 국제협약을 심각하게 위반한 명백한 과잉 대응"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 국방부는 2일(현지시간) 공군기지가 있는 몬태나주 상공 등 미국 영공에서 "중국의 것으로 확신되는" 정찰 풍선을 추적·감시 중이라고 발표했다. 민간인 피해 가능성을 우려, 일단 격추를 유보했던 미군은 정찰 풍선이 영해 상공에 이르자 F-22 스텔스 전투기를 출격시켜 미사일을 발사했다.

의도치 않은 표류?... "일반적 기상 관측 기구와 달라"

2일 미국 몬태나주 빌링스의 상공에 '풍선'이 떠 있다. 미 국방부는 미국 영공에서 버스 3대 크기의 중국의 고고도 감시용 풍선이 발견돼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빌링스=AP 뉴시스

2일 미국 몬태나주 빌링스의 상공에 '풍선'이 떠 있다. 미 국방부는 미국 영공에서 버스 3대 크기의 중국의 고고도 감시용 풍선이 발견돼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빌링스=AP 뉴시스

기상관측용 풍선이 의도하지 않은 곳으로 표류했다는 게 중국 측 해명이나, 미군은 이를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패트릭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은 3일 브리핑에서 "풍선이 며칠 더 미국 상공에 떠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며 "풍선이 경로를 바꿨고 우리는 이를 계속 추적 중"이라고 말했다. 누군가의 '조종'에 따라 방향을 틀었다는 의미로 "불가항력이었다"는 중국 측 설명과는 배치된다. 그는 특히 "우리는 이것이 중국의 풍선이며 조종 능력이 있다는 것을 안다"고 강조했다.

격추된 풍선이 일반적인 기상관측용과 다르다는 지적도 나왔다. 존 빌라세노어 캘리포니아대 전기공학·공공정책학 교수는 미국 과학 전문 매체 사이언티픽아메리칸에 "통상적인 기상관측 풍선의 폭은 20피트(약 6m) 정도인데, 미 영공에 출연한 풍선은 이보다 훨씬 크다"고 지적했다. 앞서 미 국방부 관계자도 "(풍선은) 버스 3대 크기"라고 설명했다. 익명의 군사 전문가는 "의도치 않게 기상관측용 풍선이 미 영공에 진입한 것이라면 중국으로선 미리 미국에 이를 알리고 양해를 구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애당초 중국이 띄운 기상관측 풍선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미니트맨Ⅲ가 보관된 몬태나 맘스트롬 상공까지 간 것 자체를 미국으로선 의심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정찰 풍선, '저비용'에 '위성보다 고해상도' 촬영 장점

2021년 10월 16일 중국 간쑤성 주취안의 위성발사센터에서 유인 우주선 '선저우 13호'가 '창정2F 야오-13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고 있다.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 건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사된 선저우 13호는 이날 우주정거장 핵심 모듈인 '톈허'와 성공적으로 도킹했다. 주취안=신화 연합뉴스

2021년 10월 16일 중국 간쑤성 주취안의 위성발사센터에서 유인 우주선 '선저우 13호'가 '창정2F 야오-13호' 로켓에 실려 우주로 발사되고 있다.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톈궁' 건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사된 선저우 13호는 이날 우주정거장 핵심 모듈인 '톈허'와 성공적으로 도킹했다. 주취안=신화 연합뉴스

다만 미국은 이 풍선의 이륙 장소와 미 영공에서의 구체적 동선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현재로선 미국도 '중국의 의도적인 미 영공 침투'라는 주장을 입증할 '스모킹 건'(결정적 증거)은 내놓지 않은 셈이다.

이미 상당한 수준의 첨단 위성 운용 능력을 가진 중국이 무엇을 위해 노출 위험을 무릅쓰고 정찰 풍선을 띄웠겠느냐는 반론도 있다. 하지만 위성보다 낮은 고도를 비행하는 만큼 해상도가 더 높은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비용이 덜 든다는 장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미국 역시 무인항공기와 지·해상 목표물 탐지 목적의 고고도 열기구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는 현지 언론 보도도 지난해 나온 바 있다.

미 연방수사국(FBI)은 격추된 풍선 잔해물 수집·분석에 착수했다. 온도·기압 센서 등 기상관측용 장비가 아닌 고해상도 카메라 같은 정찰 장비 잔해가 나올 경우, 중국의 주장은 설득력을 잃을 공산이 크다. 반대로 미국이 잔해물에서 결정적 증거를 찾지 못한다면 중국의 반발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관련 이슈태그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