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의정갈등 1년, 지방의료 다 무너져...1년씩 수술 기다려"

입력
2025.02.19 15:30
수정
2025.02.19 15:42
구독

채희복 충북대병원 교수 CBS 라디오서
"충북대병원, 당직 인력 21명→6명
응급·암 수술 외엔 1년씩 기다려야...
정원 동결해야 전공의·의대생 올 것"

19일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100% 자율'로 결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는 모습. 뉴스1

19일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규모를 각 대학이 '100% 자율'로 결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는 모습. 뉴스1

의대 정원 확대로 인한 의정 갈등이 1년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방 의료 시스템이 붕괴 위기에 처했다는 현장 전문가의 경고가 나왔다.

채희복 충북대병원 교수는 19일 오전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방 의료의 핵심축을 담당하던 의료진이 빠져나가면서 응급·외상 환자 치료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 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충북대병원은 응급실 당직 교수 숫자가 기존 21명에서 6명으로 줄어들었다"며 "응급환자는 물론 일반 수술도 줄줄이 밀려 있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지방 의료 붕괴는 초과 사망 증가로도 이어지고 있다. 채 교수는 "여력이 부족하다 보니 119, 노인병원, 요양병원에 있는 환자들로부터 전원 의뢰가 왔을 때 대처를 못하고 있다"며 "생명이 위급한 환자가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가기도 전에 사망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수술을 받기 위해 1년 이상 기다려야 하는 환자들도 급증하는 추세다. 채 교수는 "정규 수술도 현재는 응급, 외상, 암 환자 위주로 하는 현실"이라며 "만성적 질환은 계속 뒤로 밀려서 만성 편도선염 절제수술 같은 경우 1년을 기다린다. 안타깝지만 현재로선 환자들의 중증도와 심각성을 고려해 선별 진료할 수밖에 없다"라고 설명했다.

올해 입학하는 의대생이 대폭 늘었지만 정작 신입생을 위한 교육 인프라는 준비되지 않았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채 교수는 "충북대 의대는 올해 정원이 기존 49명에서 125명으로 늘어났는데, 유급한 24학번 학생들까지 합하면 총 175명이 한 강의실에서 수업을 들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교수진도, 실습 환경도 모두 준비되지 않다 보니 제대로 된 의사 교육이 불가능한 상태"라고 토로했다.

채 교수는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것과 필수 의료, 지방 의료를 살리는 것은 별개의 문제"라며 "중요한 것은 필수 의료 시스템 전반의 개혁"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2026년 의대 정원을 동결하는 한편, 지역 주치의 제도 도입과 의료 쇼핑 제한 등 시스템 전반의 개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지윤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