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중국, 미국에 '보복 관세' 발효… 무역전쟁 '조기 봉합' 일단 무산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2017년 11월 9일 중국을 찾은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당시 미국 대통령이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환영식에 참석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대화하고 있다. 베이징=AP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중국 관세 부과에 맞선 중국의 대미 보복 관세 조치가 10일 발효되면서 미중 간 무역 전쟁 2라운드가 본격화했다. 양국 정상의 담판을 통한 '조기 봉합' 시나리오는 일단 무산됐다. 다만 두 나라 모두 확전을 자제하고 있어 협상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중국 국무원 관세세칙위원회는 지난 4일 예고했던 대로 이날 80개 미국산 품목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시행했다. 미국산 석탄·액화천연가스(LNG)에는 15% 추가 관세가, 원유·농기계·대형차·픽업트럭 등에는 10% 추가 관세가 각각 붙는다.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트럼프 행정부에 맞불을 놓은 보복성 조치다.
당초 중국은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면서 즉각 발효가 아닌 엿새간 말미를 뒀다. 물밑 협상을 벌여 타협점을 모색할 시간을 벌려는 의도로 해석됐다. 하지만 이렇다 할 협상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고, 중국도 예정대로 보복 관세 시행에 들어갔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두 나라가 무역 전쟁 피해를 줄이기 위한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약해졌다"고 평가했다.
현재로선 "미중 간 협상 분위기가 무르익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미중이 서로 한 방씩 주고받으며 향후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는 얘기다.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9일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의 시저스 슈퍼돔에서 열린 2024-25 미국 미식축구리그(NFL) 제59회 슈퍼볼 필라델피아 이글스와 캔자스시티 치프스의 경기 시작 전 관중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뉴올리언스=AP 뉴시스
웬디 커틀러 전 미국 무역대표부(USTR) 부대표는 미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현재까지 중국의 대응은 제한적"이라며 "그들의 무기고에는 미국에 대응할 많은 수단이 준비돼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의 보복 관세안에 미국의 '급소' 격인 농산물 품목이 포함되지 않은 게 단적인 근거다. 미국에 치명적 타격을 안길 '실탄'을 아껴 두며 향후 본격화할 수도 있는 '화력 대결'에 대비하고 있다는 뜻이다.
미국 역시 중국의 대응이 제한적으로 이뤄진 만큼, 추가 관세 부과 등 2차 공격을 서두르지 않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도 중국에 대한 별도 조치는 언급하지 않았다. 대중 추가 관세 부과 시행 전날인 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24시간 내 통화할 것"이라고 공언했다가 하루 만에 "서두를 게 없다. 적절한 시점에 대화하겠다"고 말을 바꾼 것도 중·장기전에 대비하려는 취지로 풀이된다.
중국공산당은 다음 달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앞두고 있다. 양회에서 먼저 주요 경제 정책 방향성을 설정한 뒤 미국과 본격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도 상무부에 2020년 미중이 체결한 '1단계 무역 합의'에 관한 재평가 결과를 4월 1일까지 제출하도록 지시했는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에 더 구체적인 협상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