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각국 정부·기업 딥시크 차단에… 중국 "위법한 데이터 수집 안 해"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사무실에서 공무원들이 업무를 하고 있는 가운데, 모니터 화면에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 차단 화면이 떠 있다. 뉴시스
한국을 비롯해 호주, 이탈리아 등 각국 정부 및 기업이 정보 유출 우려를 이유로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의 사용을 금지·차단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가운데, 중국 정부가 "위법한 데이터 수집을 요구한 적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세계 여러 나라의 딥시크 제한 조치와 관련, "중국 정부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안전을 고도로 중시하며 법에 따라 보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껏 기업이나 개인에게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저장하라고 요구한 적이 없고, 요구하지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궈 대변인은 그러면서 "중국은 경제·무역 문제를 정치화하는 데 반대해 왔다"며 "중국 기업의 합법적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그간 자국 기업이 타국의 규제 대상에 오를 때마다 '합법적 권익 수호'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는 불가피한 경우 보복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는 내용으로 해석돼 왔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